추천할 때는 제일 좋은 것 하나면 된다

profile-img
박다롱Product Designer
2023. 3. 23

제품을 만들 때, 사용자의 고민을 덜어주는 것이 중요해요. 여러 선택지 중에서 고민하다 보면, 쉽게 이탈하게 되니까요. 사용자에게는 너무 많은 선택지보다, 최고의 선택지 하나가 더 좋을 수 있어요.

그렇다면 어떤 것이 최고의 선택지일까요? 혜택이 가장 좋은 것? 다른 사람들이 많이 쓰는 것? 나와 관련이 있는 것? 카드혜택추천 서비스에서 직접 실험하고 발견한 선택지를 알려드릴게요.

카드혜택추천은 이름 그대로 체크/신용카드를 혜택에 따라 추천해주는 서비스예요. 사람들이 많이 쓴 순위를 보여주기도 하고, 혜택 종류별로 보여주거나, 사용자의 소비 내역을 분석해서 딱 맞는 카드를 추천해주기도 해요.

문제

카드혜택추천은 이미 잘 운영되고 있는 제품이었어요. 카드 혜택 TOP 10에서 많은 사용자분들이 좋은 카드를 발급받았고, 매출에 큰 기여를 하고 있었어요. 꾸준한 매출로 기초 체력이 좋은 제품이라고 할 수 있죠. 하지만 폭발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이 기초 체력 위에 좀 더 튼튼한 체력을 더 쌓아올려야 했어요. 그래서, 새로운 카드 신청 맥락을 찾기로 했죠.

가설

저희는 이전에 최고의 카드를 추천해주기 위해서 여러가지 실험을 했었어요. 그 중 ‘카드 혜택 TOP 10’으로 전달했을 때 신청율이 가장 높았기 때문에, 그 화면을 유지하고 있었죠.

그런데 지표를 살펴보니, (어쩌면 당연하겠지만) 그 중에서도 1위 카드의 신청율이 압도적이었어요. 카드 이벤트 혜택이 가장 좋기도 했고, 1위라는 단어 자체도 매력적인 요소였던 것 같아요. ‘1위’ 혹은 ‘1등’이라는 단어가 신뢰감과 검증된 느낌을 준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렇다면 다른 카드 신청 화면에서도 ‘1위’를 적용해볼 수 있겠다 싶었죠.

해결책

먼저 토스 홈에 노출되는 배너 문구를 실험했는데, ‘1등 카드 확인하기’의 클릭율이 20%p 높았어요. 아무래도 나에게 딱 맞는 카드라는 게 추상적으로 느껴지기도 했을 것이고, 1등이라는 단어가 후킹하게 느껴졌던 것 같아요.

다음으로는 카드 순위를 보여주며 추천하는 A안과, 1위 카드 한 개만 보여주는 B안를 비교해보기로 했어요. 저는 당연히 순위를 보여주는 A안이 이길 거라는 생각을 했어요.

결과

제 예상과는 다르게 한 개만 보여준 B안이 카드 신청 전환율이 더 좋았어요. 여러개의 카드를 제안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들이 더 많이 고민하게 되었던 것 같아요. 결국 핵심은 선택지를 한 가지만 주는 것이었던 거죠.

(* 사실 각각 컨셉에 맞는 화면을 구성하느라 실험의 변수가 잘 통제되어있진 않았어요. 지금이라면 더 좋은 실험을 설계할 수 있을텐데, 하는 생각도 드네요! )

적용해보기

여러 가지 상품을 추천하는 제품이 있다면 한 개만 강조해보는건 어떨까요? 가장 좋은 선택지를 골라 사용자의 고민을 줄이면, 이탈이 줄어들 거에요.

가장 좋은 선택지처럼 보이게 아이디에이션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 사회적 증거를 들어 신뢰감을 준다.
    • 토스 회원들이 가장 많이 구매한 상품이에요.
    • 지금까지 3만명이 구매한 상품이에요.
    • 리뷰 평점이 가장 좋은 상품을 소개할게요.
  • 사용자의 정보를 활용한다.
    • 매일 카페를 가는 김토스님, 카페 할인되는 카드를 만들어보세요.
    • 30대 여성에게 가장 인기있는 원피스예요.
    • 송파구에 사는 김토스님, 송파구 방문 1위 맛집이에요.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좋았는지, 아쉬웠는지, 아래 이모지를 눌러 의견을 들려주세요.

😍
🤔
다른 글 둘러보기
내 아이디어를 너무 믿지 마세요2023. 03. 28
디자이너가 새로운 도메인을 빠르게 학습하는 법2023. 03. 07
토스 디자인 원칙 Value first, Cost later2023. 03. 16

토스팀이 만드는 수많은 혁신의 순간들

당신과 함께 만들고 싶습니다.
지금, 토스팀에 합류하세요.
채용 중인 공고 보기